본문 바로가기

전체보기210

비보라다(Wiborada) 성인명 | 비보라다 (Wiborada) 축일 | 5월 2일 성인구분 | 성녀 신분 | 동정 순교자, 상담가, 치유가, 예언가 수호 | 사서와 책 제본자들의 수호성인 활동연도 | +926년 같은이름 | 귀보라, 바이브라트, 위보라다 성녀 비보라다는 스위스의 클링냐(Klingna)에서 태어났고, 프랑스어로는 귀보라(Guiborat), 독일어로는 바이브라트(Weibrath)라고 부른다. 그녀는 슈바벤(Schwaben)의 귀족 가문의 후손으로 부모의 집에서 은둔생활을 하고 있었다. 그녀의 오빠 한 명이 사제가 되기로 결심한 후부터 그녀도 장크트갈렌(Sankt Gallen) 수도원의 수도복을 입었고, 수도원 도서실의 수많은 책을 장정하는 일을 하였다. 양친의 사망 후 그녀는 사제인 오빠에게서 라틴어를 배웠으며, .. 2020. 5. 18.
그라타(Grata) 성인명 | 그라타 (Grata) 축일 | 5월 1일 성인구분 | 성녀 신분 | 과부 별칭 | 거룩한 부인 활동지역 | 베르가모(Bergamo) 활동연도 | +4/8세기? 같은이름 | 그라따 성녀 그라타는 이탈리아 베르가모의 성 루포(Lupo) 대공과 그의 아내 아델라이드(Adelaide)의 딸로, 그녀의 남편과 사별할 때까지는 그리스도인이 아니었다. 그리스도인이 된 후 그녀는 부모를 개종시켰다. 그녀는 자신의 고향에서 거룩한 부인으로 신망을 얻었고, 특별히 순교자들의 시신을 안전하게 그리스도교 전례에 따라 매장하는데 큰 열성을 지니고 있었다. 성녀 그라타는 테반 군단의 군인 순교자인 성 알렉산데르(Alexander, 8월 26일)의 유해를 천으로 정성껏 감싸 영예롭게 매장했다고 한다. 그녀의 아버지가 사.. 2020. 5. 18.
가타리나(Catherine of Siena) 성인명 | 가타리나 (Catherine) 축일 | 4월 29일 성인구분 | 성녀 신분 | 수녀, 교회학자, 신비가 활동지역 | 시에나(Siena) 활동연도 | 1347-1380년 수호 | 간호사들의 수호성인 같은이름 | 까따리나, 카타리나, 캐서린, 카트린느 성녀 카타리나 베닌카사(Catharina Benincasa, 또는 가타리나)는 시에나의 한 염색업자의 25명의 자녀 가운데 막내딸로 태어났다. 그녀는 생기발랄하고 상냥한 성격을 지녔으며, 아버지가 항상 점잖게 굴라고 하는 말을 싫어했다고 한다. 그런데도 불과 6살의 어린 나이에 자신의 생애를 미리 보는 신비한 체험을 하였다. 그녀는 부모가 자신을 결혼시키려는 모든 노력에 반항하고, 오로지 기도와 단식에만 전념하였다. 그녀는 16세 되던 해에 도미니코.. 2020. 5. 18.
잔나 베레타 몰라(Gianna Beretta Molla) 어머니, 의사, 태아의 수호성인 성인명 | 잔나 베레타 몰라 (Gianna Beretta Molla) 축일 | 4월 28일 성인구분 | 성녀 신분 | 부인, 의사 수호 | 어머니, 의사, 태아의 수호성인 활동연도 | 1922-1962년 같은이름 | 베레따, 요한나, 잔, 잔느, 쟌, 제인, 조반나, 조안, 조안나, 조한나, 지아나, 지안나, 지안나, 지오바나, 지오반나, 후아나 성녀 잔나 베레타 몰라는 1922년 10월 4일 이탈리아 밀라노(Milano)의 마젠타(Magenta)에서 알베르토(Alberto)와 마리아 베레타(Maria Beretta) 사이의 13세 자녀 중 열 번째 딸로 태어났다. 이미 어린 시절부터 그녀는 기꺼이 신앙의 선물을 받아들였고, 신심 깊고 훌륭한 부모로부터 확실한 그리스도교 .. 2020. 5. 18.
지타(Zita) 성인명 | 지타 (Zita) 축일 | 4월 27일 성인구분 | 성녀 신분 | 동정녀, 하녀 수호 | 하인들의 수호성인 활동연도 | 1218-1272년 같은이름 | 시따, 시타, 지따, 치따, 치타 이탈리아 중북부 토스카나(Toscana) 지역의 루카(Lucca) 근처에 있는 몬사그라티(Monsagrati)라는 작은 마을에서 가난한 농부의 딸로 태어난 성녀 지타는 가난하지만 신심이 깊은 부모 밑에서 성장하였다. 특히 어머니의 보살핌과 신앙 교육으로 인해 그녀가 말을 알아듣기 시작할 때부터 하느님의 사랑을 깨달았을 정도였다. 12세의 어린 나이로 루카의 파티넬리(Fatinelli) 가문의 하녀가 된 그녀는 그곳에 평생 머물며 48년 동안 하녀로 일하였다. 그녀는 근면하고 열심하였을 뿐만 아니라 극도의 고행을.. 2020. 5. 18.
엑스수페란시아 (Exsuperantia) 성인명 | 엑스수페란시아 (Exsuperantia) 축일 | 4월 26일 성인구분 | 성녀 신분 | 동정녀 활동지역 | 트루아(Troyes) 활동연도 | +380년? 같은이름 | 엑수뻬란씨아, 엑수페란시아, 엑수페란티아, 엑스뻬란씨아, 엑스수뻬란씨아, 엑스수페란티아, 엑스페란시아 성녀 엑스수페란티아(또는 엑스수페란시아)의 유해가 프랑스 트루아에서 공경을 받고 있는 것 외에 성녀에 대해 알려진 다른 것은 없다. Name meaning The name is from the Latin word “exsuperantia” (meaning “superiority” in English). 라틴어 exuperantia로부터 왔으며 영어로는 "우수한, (위치가) 상부의, 고위의, 큰"을 의미한다, 2020. 5. 18.
프랑카(Franca) 성인명 | 프랑카 비잘타 (Franca Visalta) 축일 | 4월 26일 성인구분 | 성녀 신분 | 수녀원장 활동지역 | 피아첸차(Piacenza) 활동연도 | 1170-1218년 같은이름 | 프란까 비살따, 프란카 비살따, 프란카 비살타, 프랑까 비잘따, 프랑카 비잘따 이탈리아 피아첸차에서 출생한 성녀 프랑카 비잘타가 피아첸차의 성 시루스(Syrus) 수도원에 들어갔을 때에는 불과 7세였다. 그녀는 14세 때 서원을 하였다. 어린 프랑카였지만 다른 모든 자매들에게 올바르게 순종하는 법을 배웠을 뿐만 아니라 신심과 극기에서도 뛰어났다. 그 후 원장으로 피선된 그녀에게 한 동안은 모든 일이 잘 되는 듯 하였다. 그러나 더 많은 세월을 중상과 모략으로 고생하였고 또 심적인 번민으로 괴로움을 당하였다. 그.. 2020. 5. 18.
세노리나(Senorina) 성인명 | 세노리나 (Senorina) 축일 | 4월 22일 성인구분 | 성녀 신분 | 수녀원장 활동지역 | 바스토(Basto) 활동연도 | +982년 같은이름 | 세그노린, 세뇨린, 셰뇨린, 쎄노리나 몬도네도(Mondonedo)의 성 루데신드(Rudesind, 3월 1일) 주교의 친척인 성녀 세노리나는 베나리아(Venaria)에 있는 베네딕토회 수녀원 원장인 고디나(Godina) 아주머니의 돌봄을 받았다. 나중에 그녀는 그 수녀원에 입회하였고 아주머니를 뒤이어 원장이 되었다. 원장이 된 후 성녀 세노리나는 수녀원을 포르투갈 브라가(Braga) 교구의 바스토로 옮겼다. 그녀는 세뇨린(Segnorin)으로도 불린다. Hebrew origin and means "Gift of god" 히브리어에서 유래했으며.. 2020. 5. 18.
마리안나(Marianna) 성인명 | 마리아나(예수의) (Mariana of Jesus) 축일 | 4월 17일 성인구분 | 복녀 신분 | 동정녀 별칭 | 마드리드의 백합 활동지역 | 마드리드(Madrid) 활동연도 | 1565-1624년 같은이름 | 마리안나 에스파냐 마드리드에서 태어난 마리아나 나바라 데 게바라 로메로(Mariana Navarra de Guevara Romero)는 신심 깊은 어린 시절을 보냈다. 그녀는 23세 때에 결혼 제의를 물리치고 고향에 있는 맨발의 메르체다리오회에 입회하여 수녀가 되면서 예수의 마리아나라는 수도명을 받았다. 그녀의 삶은 참회와 성체성사에 대한 애정 그리고 열정적인 기도로 특히 유명하다. '마드리드의 백합'으로도 불리는 그녀는 1624년 4월 17일 마드리드에서 선종하였고, 1783년 5월.. 2020. 5. 18.
마들렌(Madeleine) 성인명 | 막달레나 (Madeleine) 축일 | 4월 10일 성인구분 | 성녀 신분 | 설립자 별칭 | 가난한 사회사업가 활동지역 | 카노사(Canossa) 활동연도 | 1774-1835년 같은이름 | 마들렌, 막딸레나 1774년 3월 1일 이탈리아 베로나의 귀족가문에서 태어난 성녀 막달레나(Magdalena)는 어려서 부친을 잃고 큰 충격을 받았다. 그런데 그녀의 어머니는 자녀들을 남겨둔 채 재혼하여 떠나버렸다. 이때 그녀의 나이는 8세였다. 그의 형제들은 삼촌 밑에서 자랐는데, 삼촌의 학대 때문에 그녀는 입을 꼭 다물고 말을 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녀는 수녀가 될 마음으로 가까이 있던 카르멜회로 갔으나 성소가 없었던지 돌아오고야 말았다. 그 당시 나폴레옹이 전쟁을 일으켰는데 바로 그 나폴레옹이 그녀.. 2020. 5. 18.
바실리사(Basilissa) 성인명 | 바실리사 (Basilissa) 축일 | 4월 15일 성인구분 | 성녀 신분 | 사도들의 제자, 순교자 활동지역 | 로마(Roma) 활동연도 | +65년경 같은이름 | 바실리싸 근거는 희박하지만 로마에 사는 성녀 바실리사와 귀부인 성녀 아나스타시아(Anastasia)는 그리스도교로 개종한 이들로 사도 성 베드로(Petrus)와 성 바오로(Paulus)의 제자가 되었다. 그들은 박해를 받아 순교한 두 성인의 시신을 발견하여 장사지냈는데, 이 일로 인해 그들 역시 투옥되어 모진 고문을 받은 후 네로 황제의 명에 따라 참수되었다고 한다. Origin & Meaning This name derives from the Mycenaean Greek and Ancient Greek “(qa-si-re-u >.. 2020. 5. 18.
리브가(Rebekah) 성인명 | 리브가(Rebecca, Rebekah) 축일 | 3월 15일 신분 | 구약인물, 이사악의 아내, 야곱의 어머니 별칭 | 용기와 지혜의 여인 지역 | 이스라엘 같은이름 | 레베카, 레벡카, 레브카, 라프카, 리브카 리브가는 이사악의 아내이며 야곱과 에서의 어머니로 구약성경에 나타난다. 성경 기록에 의하면 리브가는 바단 아람 출신의 아람인 베두엘의 딸로서 라반의 여동생이었다. 리브가는 밀가와 나홀의 손녀이다. 아브라함과 사라, 그리고 야곱과 레아 이후에 족장들의 무덤에 리브가와 이사악도 함께 묻혔다. 리브가의 이름에는 'net, strap, snare(그물, 끈, 올가미)'라는 의미 외에도 '행복한 여자(a happy woman'라는 뜻이 있다. 일부다처의 시대속에서 일부일처로 살았으니 얼마나 행.. 2020. 5. 18.
카실다(Casilda) 성인명 | 카실다 (Casilda) 축일 | 4월 9일 성인구분 | 성녀 신분 | 동정 은수자 별칭 | 사라센족의 처녀, 사라센족의 공주 상징 | 장미꽃, 빵 활동지역 | 톨레도(Toledo) 활동연도 | +1050년 같은이름 | 가실다, 까실다 성녀 카실다는 에스파냐 톨레도에서 무어인 부모에게 태어났다. 그녀의 아버지는 예수 그리스도와 관계된 것은 모두 증오하는 사람이었다. 성녀 카실다는 비밀리에 그리스도인 포로들을 방문하고 먹을 것을 가져다주다가 발각되자 아버지의 진노를 피해 부르고스(Burgos)의 브리비에스카(Briviesca)로 가서 세례를 받고 그리스도인이 되어 병고와 공포 속에서도 기쁨을 간직한 은수자로 살다가 선종하였다. 교회미술에서 성녀 카실다는 장미꽃을 나르는 사라센족의 처녀로 묘사되고.. 2020. 5. 18.
알레타(Aleth) 성인명 | 알레타 (Aleth) 축일 | 4월 4일 성인구분 | 복녀 신분 | 과부 별칭 | 거룩한 자녀들의 어머니 활동지역 | 디종(Dijon) 활동연도 | +1107년 같은이름 | 알레따, 알레이디스, 알레트, 알리시아, 알레시아, 알리치아, 알리키아, 앨리스, 엘레이다, 엘레이디스, 엘리스 알레타(Aletha)는 클레르보(Clairvaux)의 성 베르나르두스(Bernardus, 8월 20일)와 다른 많은 거룩한 자녀를 둔 어머니로 몽바르(Montbard) 영주의 딸이자 테셸랭 소렐(Tescelin Sorrel)의 아내였다. 그녀의 유해는 1110년 프랑스 디종의 성 베니뇨(Benignus) 수도원에 안치되었다가 1250년에 클레르보로 옮겨졌다. 그녀는 알레이디스(Aleidis, Aleydis), 알.. 2020. 5. 18.
리디아(Lydia) 축일 | 3월 27일 성인구분 | 성녀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121년 성 필레투스(Philetus), 성녀 리디아, 성 마케도(Macedo), 성 테오프레피우스(Theoprepius), 성 암필로키우스(Amphilochius)와 성 크로니다(Cronidas)는 하드리아누스 황제 때 일리리아(Illyria)에서 순교하였다. 로마 순교록에 의하면 성 필레투스는 원로원 의원이고 성녀 리디아는 그의 아내이며, 성 마체도와 성 테오프레피우스는 그들의 아들이었다. 성 암필로키우스는 장군이었고, 성 크로니다는 기록 책임자였다. Lydia Name Meaning Lydia is a very beautiful name. It is of Greek origin and comes from the bible wher.. 2020. 5. 18.